Dr. Choi’s Colonoscopy
항문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직장부터 대장의 시작부분인 회장까지 전체를 관찰하는 검사로 대장 용종을 조기 발견하여 제거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한 진단을 바탕으로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Related Diseases
Process
Step 1
진정제 투여
침대 위 왼쪽으로 누워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기고
의식하 진정(수면) 내시경 시 수면제를 투여합니다.
Step 2
전처치
항문에 국소 마취제 및
윤활제를 바르고
항문을 진찰하며 검사 준비합니다.
Step 3
검사 및 치료
항문을 통해
내시경을 회장까지 삽입한 후
대장을 관찰합니다.
Step 4
용종 제거 및 조직 검사
검사 중 용종이 발견되면
즉시 제거한 후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Recommended target
Colonoscopic Polypectomy
대장 용종은 조직 소견에 따라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뉩니다. 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는 선종은 대장내시경 시 흔하게 발견되지만 진행 속도가 느려 용종 제거로도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Regular
Check-up
Gastrointestinal Endoscopy Center
대장암 등 개인에 따라 위험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대장내시경에서 선종의 개수가 많거나, 크기가 1cm 이상, 또는 융모 선종이거나, 중증 이형성이 있거나,
특히나 고령인 경우에는 재발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개인의 위험도에 따라 적절한 간격에 따라 정기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대장 용종을 조기 발견하여 내시경적 용종 제거술이나 내시경 점막 절제술을 통해 치료하면 대장암 발생을 줄이고 조기 대장암의 근치도 가능합니다.
국내에서도 대장암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대장암은 누구에게나 걸릴 수 있는 병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내시경 세척은 2차 감염을
예방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Q&A
01
자극적인 음식을 먹고 혈변을 봤는데 대장염인가요?
궤양성 대장염의 증상 중 혈변이 타날 수 있지만 반드시 궤양성 대장염은 아닙니다.
환경적, 유전적인 요인 뿐아니라 장내 존재하는 정상 세균에 대한 면역 반응 등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생활 습관에 따라 염증성 장 질환의 발병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내시경 후 임상 소견과 혈액 검사, 혈액 겸사 소견을 종합하여 확정 지을 수 있고 초기 대장염은 일시적인 약물 치료로도 대체로 예후가 좋기 때문에 정확한 대장염 발생 여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02
대장 용종 절제는 안전한가요?
대장내시경을 통해 올가미를 넣고 전기를 통해 용종만 잘라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염증성 용종이나 과증식성 용종은 제거하지 않아도 되지만 크기가 크거나
대장 용종 중에서도 종양성 용종인 선종선 용종과 유암종은 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모두 제거해야 합니다.
03
대장암은 어떤 증상이 있나요?
대장암은 초기에 명확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가벼운 소화불량, 속 쓰림 등이 나타나 파악하기 쉽지 않고, 어떤 증상이 있다면 이미 암이 상당히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장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정기적인 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검사 전
검사 후